마케팅 자료

Google 동영상 콘텐츠 색인(indexing)

hari :) 2023. 12. 26.

동영상 콘텐츠의 색인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고?

 

동영상 콘텐츠의 제작과 소비가 지속해서 늘어나는 트렌드에 맞춰 Google 또한 수많은 동영상 콘텐츠를 색인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검색 결과에서 동영상 콘텐츠의 노출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22년도 7월 Google Search Console 내 '동영상 색인 생성 보고서'를 추가했다. 이 보고서를 통해 동영상이 포함된 URL(페이지)과 동영상의 URL의 색인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동영상 색인(indexing) 생성 보고서의 주요 검토 사항

- Google은 몇 개의 동영상이 포함된 페이지(URL)를 색인했는가?
- 어떤 동영상이 색인되었는가?
- 색인에 실패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 단, 동영상 스키마 데이터 유무와는 관계없음

 

또한 URL Inspection을 통해 동영상 콘텐츠가 포함된 페이지의 URL을 입력하게 되면 색인 상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다.

① 콘텐츠 내 포함된 동영상의 URL 값 ② 썸네일 이미지의 URL 값 ③ 동영상 색인 생성을 막는 원인 및 색인 여부 상태 등

 

동영상 콘텐츠의 색인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 TOP 6

동영상 콘텐츠가 많은 웹사이트라면 아래의 사항들을 검토하여 Google 색인에 이슈가 없도록 관리해야 한다.

 

1. 검색엔진이 접근할 수 있는 페이지 인가?
  → 동영상 콘텐츠 색인에 이슈가 있다면 먼저 robots.txt 혹은 meta robots tag로 no-index 처리되어 있는지 검토

 

2. 동영상을 지칭하는 HTML tag 사용
  → <video>, <embed>, <iframe> 또는 <object> 등

 

3. 동영상 Sitemap.xml 생성
  → 동영상 색인을 위해 동영상 Sitemap.xml을 생성하고 Google Search Console에 제출

 

4. 정상적인 동영상 포맷 유지
  → 페이지 안에 동영상이 배치되어야 하며 페이지 내 팝업 or 이미지 등에 가려져 있는지 검토
  → 동영상 클릭 시 재생에 문제가 없어야 함
  → 올바른 비디오 포맷을 제공할 것 (ex. https://www.video.com/video-indexing.mp4)

 

5. 동영상의 크기
  → 너비 : 140 ~ 1,080 픽셀 / 높이 : 140 픽셀 이상

 

6. 썸네일 이미지 포함
  → GIF, PNG, JPEG, SVG 등의 이미지 형식
  → 이미지 크기 : 최소 60*30 픽셀, 크면 클수록 좋음

 

 

결론적으로 검색엔진 로봇이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동영상을 찾을 수 있도록 권장 사항만 잘 지키면 된다.

실제로, 위의 6가지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을 지키지 않아 색인에 실패한 사례가 있었다. 그 내용은 다음 콘텐츠에서 소개하겠다.

 

to be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