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자료

SEO(검색엔진최적화)를 위한 패싯 내비게이션(faceted navigation)

hari :) 2022. 8. 24.

패싯 내비게이션(faceted navigation)이란?

패싯 서치(faceted Search)라고도 불리며 웹사이트의 내비게이션 종류의 하나이다.

이런 흔히 이커머스 웹사이트를 방문해 본 경험이 있다면 한 번쯤은 사용해 봤을 것이다.

수많은 제품 중에서 가격, 사이즈, 색상, 브랜드, 카테고리, 고객 리뷰 등 다양한 옵션으로 제품을 필터링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단순히 웹사이트의 기능을 넘어서 유입된 고객이 제품을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콘텐츠 소비에 집중할 수 있는 역할을 하므로 고객 웹사이트 경험 측면에서도 중요한 부분이다.

 참고로, 필터와 패싯의 목적은 동일하지만, 의미는 조금 다르다. 필터의 경우 전체 내용을 필터링하며 특정 옵션과 일치하지 않는 콘텐츠를 결과에서 제외하여 항목을 단순히 줄이는 기능이다. 패싯은 선택 옵션이 많을수록 새로운 하위 옵션을 제공하기 때문에 필터보다는 유용하고 다양한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즉 검색 결과의 세분화의 개념이다. 따라서 필터의 범위는 가방, 옷, 신발 등의 넓은 범주의 카테고리라면 패싯의 경우 제품의 사이즈, 컬러, 소재 등 좀 더 세분화된 범주를 의미한다.

 

이커머스의 제품 카테고리와 고객 니즈를 반영하여 적절한 패싯 옵션 선정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대로 너무 디테일 한 패싯 옵션은 고객이 제품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혼란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제공하고 있는 패싯 내비게이션 옵션이 적절한지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커머스 웹사이트에서 활용되는 패싯 내비게이션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냐에 따라 구성되는 패싯 내비게이션 옵션은 너무나 다양하다.

패싯 내비게이션을 통해 결과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크게 하기 2가지 항목의 정의가 기본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 각 제품의 메타데이터(컬러, 사이즈, 제품 코드, 출시 연도 등) 정의
  • 노출 로직 

 

다소 복잡한 작업이기 때문에 웹사이트를 구축하면서 적용하면 좋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운영단계에서 고객 니즈를 파악하고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다각도로 제공할 수 있도록 패싯 옵션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오늘의 집] 

주요 카테고리는 인테리어 & 가구이다.

해당 예시 페이지는 인테리어 의자 리스트 페이지다. 상단에 패싯 내비게이션에는 가구 색상, 주요 소재, 팔걸이 유무, 사이즈, 등판 디자인 등 아주 정교한 옵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늘의집 웹사이트 - 패싯 네비게이션 예시
오늘의집 웹사이트 - 패싯 내비게이션 예시

 

[나이키

주요 카테고리는 패션이다.

해당 예시 페이지는 Women's 신발 리스트 페이지다. 좌측 영역에 패싯 내비게이션을 배치하고 신발 타입에 적합한 용도, 착용감, 기능성, 지면 등 패싯 옵션이 구성되어 있다. 

 

나이키 웹사이트 - 패싯 네비게이션 예시
나이키 웹사이트 - 패싯 내비게이션 예시

 

예시로 들었던 위의 2개 이커머스 웹사이트는 제품 특성과 고객의 니즈를 분석하여 적용한 Best 사례라고 볼 수 있다. 

 

 

SEO(검색엔진 최적화)에 패싯 내비게이션이 중요한 이유

해당 콘텐츠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일 것 같다.

먼저 SEO의 궁극적인 목표를 생각해보면 고객이 다양한 키워드로 검색 시 검색 결과에서 자사의 웹사이트가 상위에 혹은 다수 노출되는 것이다. 

 

패싯 내비게이션이 SEO 측면에서 중요한 이유는 추가적인 검색 노출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고객은 원하는 제품을 찾기 위해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패싯 내비게이션을 통해 옵션을 선택하고 조건을 좁혀가는 액션을 취할 것이다. 이때 다양한 옵션들이 조합되어 각각의 유니크한 페이지들이 생성될 텐데 이 페이지들은 검색엔진에 색인되며 검색 결과 노출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패싯 내비게이션을 통해 생성된 페이지들은 어떤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 검색 결과에 노출이 될까? SEO 경험상 롱테일 한 키워드 검색 결과에 많은 확률로 노출이 된다.

여기서 롱테일 키워드란? 
3 단어 이상으로 구성된 키워드로 검색량이 적지만 의도가 명확한 키워드를 의미한다.
예) 14인치 가벼운 노트북, 나이키 러닝용 검정 운동화, 무선 벽걸이 LED 시계  등 

 

롱테일 키워드의 경우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콘텐츠 간 경쟁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상위 노출의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잘 설계된 패싯 내비게이션 페이지들은 SEO 퍼포먼스에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올 수 있을 것이다.

 

 

SEO를 위한 패싯 내비게이션(faceted navigation) 가이드

웹사이트를 구축 또는 운영하면서 패싯 내비게이션의 잘못된 설정으로 검색 노출의 기회를 얻지 못하거나 검색엔진 크롤링 과부하가 생기는 상황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대표적인 패싯 내비게이션 페이지들의 문제점들이다.

  • 패싯 페이지들의 동일한 URL 생성 (중복 콘텐츠 발생)
  • 무제한 패싯 페이지 생성
  • 크롤링 낭비
  • 내부 링크 분산화 등

 

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다각도의 측면에서 취해야 할 Action items을 정리해보았다.

 

SEO Tag 측면 운영 거버넌스 측면
1. 크롤링 제한
- robots.txt 특정 폴더 noindex 처리
- 페이지 내 rel="nofollow태그 삽입
1.패싯 URL 기준 생성
- 등호(=) 및 하이픈(-)으로 연결
-
앰퍼샌드(&)로 여러 매개변수를 추가 
2. 중복 컨텐츠 방지
- rel=canonical 태그 사용
2.  패싯 페이지 조건 생성
- 결과값이 없는 경우 블러 처리하여 필터링 제한
- 제품이 있을 때만 URL을 생성하여 불필요한 URL 생성제어
3. 생성 페이지의 SEO Meta data 자동화 3. 패싯 옵션 모니터링

 

패싯 내비게이션 페이지의 경우 고객이 커스텀하여 언제든 생성될 수 있는 페이지이기 때문에 SEO에 유의미한 Tag들은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SEO Ruleset 자동화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제품의 메타데이터가 URL & Title tag 등 SEO Tag에 활용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직관적인 키워드로 정의할 것을 권장한다.